집에 바퀴벌레로 의심되는 생명체를 목격해서 사진 찍어서 세스코에 올렸더니 엄청나게 친절한 감동적인 답변이 왔다. 역시 옛 명성이 헛되지 않은듯..나도 나중에 메일 상담원이 되어서 그런 감동을 고객에게 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; bug에 대한 상담원이라도 해야할까;
10.12.01 20:57
'스캐폴딩 형태 중 하나로 더미 컴포넌트가 있다. 이것은 오직 인터페이스와 약간의 가짜 데이터 또는 몇개의 작은 테스트 케이스 등으로 구성된다." 이 책이 몇년도에 나왔더라? 아뭏든 Unit Test나 Mock은 새로운 것도, 일시적인 유행도 아니다.
10.11.28 21:09
성현1
형식과 도구는 달라도 이미 옛날부터 하고 있었다는 의미로 저 책 내용을 옮겨와봤어요. 이미 오픈소스 제품이나 저희회사만 해도 보편화되었는데, 국내 SI가 유독 힘든 여건인것 같아요
10.11.28 22:50
유현이 이유식 3번 먹이고, 울 때 달래고, 놀아주고, 재우고, 나도 자고 하니 주말이 그냥 지나가네. 지인 중에 한 분은 번역 하신다고 미투도 거의 끊는 의지를 보여주시던데, 나도 술이라도 끊는 결단이라도 해야지 책이라도 보고 밀린 일들을 할 수 있는 시간이 날듯..
10.11.28 20:46
design-patterns-in-jdk
BufferedFileReader 와 FileReader에 쓰인 pattern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사람이 8~10명 중에 한명이라..꼭 알아야 되는건 아니지만 그정도는 반정도는 알고 있을거라고 생각했었는데 의외네.
10.11.24 09:59
RT @eyeball 젊은 사람이 더 창의적일거라는 단순한 논리가 모 기업 인사를 통해 전 사회에 확산되려는 기미가 보인다. 참 단순한 논리다. 세계 거장들이, 장인들이 쏟아내는 작품과 기술을 보라. 여전히 창의적이고 혁신적이다. 정작 은퇴할 분은 복귀하고 말이다.
10.11.22 12:52
자취하던 시절에 시간 안 들이고 해먹을 수 있는게 없을까해서 봤었는데, 막상 여기있는 재료들을 구하는게 더 힘들어 보여서 실생활에 도움은 안되었다. 그러나 채식주의가 얼마나 아름다운 사상인지 알려준 책. 언젠가 숲속에서 풀만 먹고 살 수 있는 날이 왔으면.
10.11.19 13:10
두뇌의 원리에 대한 책인데, 책의 내용도 그런 원리를 응용해서 설명한 부분이 흥미롭다. 발표자료 만들 때 응용할만한 부분이 많다. 저자가 어렸을 때 무신론자가 되겠다고 말했더니 어머니가 니체의 책을 권했다는 이야기가 압권이다. 그런 어머니 덕에 이런 책도 나온 듯.
10.11.18 02:03
Agile data modeling
실무에서봐도 DB영역이 '한방 설계'의 절차를 따르는 마지막 영역인 것 같다. 전통적인 DB설계 방식과 역할분담에 맞춘 점진적인 설계는 지엽적인 문제만을 해결할 뿐이다.. 그런데 시스템에서 DB가 '갑' 역할인 경우가 많다.
10.11.17 18:44
뭐 그 넘들이야 그렇다고해도 루이비x 입주 시키겠다고 공공공간을 마구 내어주는 공항과 신세x도 에휴~
10.12.07 10:04